책을 펴내면서 / 李恒寧 = 4 Ⅰ. 한국 속의 미국문화 1. 한국의 실학사상과 미국의 프래그머티즘 / 李乙浩 = 11 2. 한국 개화기에 있어서의 미국 선교사상 / 李英範 = 18 3. 한국사상과 미국의 데모크라시 / 朱冠中 = 24 4. 한국문학에 이입된 미국문학 / 金秉喆 = 34 5. 한국의 대중문화와 미국의 대중문화 / 李泰柱 = 48 Ⅱ. 한국 속의 중국문화 1. 동아질서 속에서의 중화사상 / 權重達 = 57 2. 유학사상과 한국문화 / 裵宗鎬 = 67 3. 중국불교의 한국적 전개 / 朴先榮 = 76 4. 한국의 가족주의와 중국의 가족주의 / 朴秉濠 = 84 5. 한국문학 속에 수용된 중국문학 / 金鉉龍 = 93 Ⅲ. 한국과 일본 1. 한국신화와 일본신화 / 崔仁鶴 = 103 2. 한국의 선비기질과 일본의 무사정신 / 金容雲 = 116 3. 한국경제와 일본경제 / 朴態緖 = 125 Ⅳ. 한국과 러시아 1. 한국과 러시아 혁명 / 金昌順 = 133 2. 러시아 문학의 수용과 한국문학 / 申東旭 = 143 3. 소련 속의 한국인 / 李啓熙 = 153 4. 소련의 대외정책과 한반도 / 鄭用吉 = 162 Ⅴ. 현대사회사상과 한국 1. 유럽 문화와 한국문화의 만남 / 李光周 = 173 2. 한국 시민사상의 형성과 서구문명 / 黃性模 = 182 3. 서구 민주주의의 사상적 영향 / 尹根植 = 190 4.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평가적 이해 / 白承均 = 198 5. 아담 스미스와 한국의 근대화 / 權赫紹 = 207 6. 인간소외론의 재음미 / 金淙鎬 = 217 Ⅵ. 세계의 교육사상과 한국 1. 진보주의 교육사상과 전통주의 교육사상 / 林漢永 = 231 2. 미국교육사상과 한국교육제도 / 韓明希 = 241 3. 현대교육사조와 한국 / 金在萬 = 250 Ⅶ. 기독교의 수용과 한국 1. 민족 수난기의 기독교 신앙 / 朴成壽 = 261 2. 기독교가 한국문학에 끼친 영향 / 金海星 = 271 3. 한국 그리스도교의 현재와 미래 / 李恩奉 = 282 Ⅷ. 현대과학사조의 수용과 한국 1. 서양과학의 수용과 한국의 전통사회 / 朴星來 = 293 2. 한국 컴퓨토피아의 진단 / 柳京熙 = 302 3. 한국 유전공학의 현황과 전망 / 설동섭 = 311 Ⅸ. 현대예술의 수용과 한국 1. 해외문학파를 전후한 외국문학의 수용 / 정인섭 = 323 2. 미국연극이 한국연극에 미친 영향 / 車凡錫 = 330 3. 서양음악의 유입과 한국음악 / 李相萬 = 338 4. 초창기 한국영화의 발전과정 / 李英一 = 346 5. 한국 油畵의 토착화 과정 / 劉槿俊 = 355 6. 한국인의 서양식건축조형 해석 / 元正洙 = 362 7. 서구무용의 수용과 한국무용 / 李盾烈 = 369 |